"양심적으로 하쇼!" 우당탕탕 첫 시장선거, 무효표도 가지각색 [오래 전 '이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지상연 작성일20-12-30 01:00 조회25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
[경향신문]
196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1960년 12월30일 현실에 반영된 기명투표의 ‘넌센스’
볼펜 크기의 도장 끝에 인주를 묻히고, 투표지에 콕! 민주시민인 우리는 살면서 참 많은 투표를 경험합니다. 대통령 선거부터 초등학교 학생회장 선거까지, 규모는 달라도 투표하는 방식은 대개 비슷합니다. 후보 이름이 적힌 투표지를 받고, 내가 뽑고 싶은 후보의 이름 옆에 도장을 찍죠. 이런 투표 방식을 ‘기표투표’라고 하는데요. 오늘날 한국의 공직 선거는 바로 이 ‘기표투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김상민 기자
그런데 다른 투표 방식도 있습니다. 후보자의 이름을 투표지에 직접 적어 내는 ‘자서투표’, 이른바 ‘기명투표’입니다. 분류가 쉽지 않고 문맹자는 투표를 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서 오늘날 자주 사용되는 방식은 아닌데요. 60년 전만 해도 한국은 이 ‘기명투표’ 방식으로 선거를 치렀다고 합니다.
한국 최초의 기명투표는 1960년 12월29일 서울시장 선거였습니다. 그해 4.19 혁명이 불러온 민주화의 바람 덕에 원래 임명직이던 서울시장과 도지사를 민선으로 처음 뽑았는데요. 처음 받아 보는 투표용지 앞에서 유권자들은 혼란을 겪었던 모양입니다. 무효표가 15~20%에 달했거든요. 투표지에 자기 의견을 적어 낸 창의적인(?) 무효표도 있었고, 글이 능숙하지 못해 소중한 투표권을 잃어버린 안타까운 무효표도 있었습니다.
60년 전 이날 경향신문은 한국 선거사상 최초의 기명투표에 나타난 ‘무효표 천태만상’을 다뤘습니다. 오래 전 이날 나온 다양한 무효표들을 만나보시죠.
1960년 12월30일 경향신문
기사는 종로 갑·을 개표장에서 나타난 무효표 사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한 유권자는 후보자 이름 ‘김상돈’을 적어 놓고, 칸 밖에 “양심적으로 하시요”라고 당부의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양심적인 정치를 바란 그의 마음은 아쉽게도 무효표가 돼 버렸습니다.
한 유권자는 투표지에 장문의 글을 적었습니다. “김상돈씨와 장기영씨, 어느 쪽으로 결정할지 생각한 결과 장기영씨로 결정했습니다. 서울시의 살림을 잘 해주시요. 모 여인으로부터.” 기사는 이 투표지를 두고 “애틋한 시민의 하소연이 이름 석자를 적는 것으로는 풀리지 않았는지, 혹은 시민감정을 표시한 야유인지, 아무튼 난처한 무효표”라고 평가했습니다.
소중한 한 표가 무효로 처리될까봐 걱정했는지, 후보자 이름 위에 동그라미를 정성껏 그려넣은 이도 있었습니다. 후보자 이름을 적어 온 쪽지를 투표지에 풀로 붙인 사례도 나왔죠. 서울시선거위원회가 보낸 후보자 일람표 위에 인주를 찍어 낸 표도 적지 않았다고 합니다.
1960년 서울시장 선거 개표 현장. 국가기록원 제공
압권은 유권자 본인의 이름을 적은 무효표였습니다. 꽤나 정성들여 적었다는데요. 기사는 “이쯤 되고 보면 선거가 무엇인지부터 계몽해야 할 판”이라며 “나는 분명히 기권하지 않았다는 증거는 됐을 것”이라고 한탄하네요.
“눈물을 핑 돌게 하는” 무효표도 나왔습니다. 글을 쓸 줄은 모르지만 좋은 세상을 만들고 싶어 투표장에 나온 문맹자들의 무효표입니다. 소중한 주권이 ‘지식의 벽’에 안타깝게 가로막힌 셈이죠. “예를 들면 어렵사리 ‘ㅈ’을 적어놓고 그 오른쪽에 아물아물 기억해둔 획수를 잊어버렸음인지 그적거리고는 기특하게도 이름 두 자는 ‘기영’이라고 알아볼 만큼 적었다”고 하네요. 김상돈 11대(초대 민선) 서울시장. 경향신문 자료사진
우당탕탕 첫 기명투표의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요? “양심적으로 하라”는 따끔한 당부를 받은 민주당의 김상돈씨가 초대 민선 서울시장으로 당선됐습니다. 하지만 어렵사리 얻은 민주주의는 다시 어둠으로 빠지게 됩니다. 바로 다음 해에 5.16 군사정변이 일어났거든요. 김상돈 시장도 시장직을 내려놓습니다. 요란법석 좌충우돌하는 민주주의라도 그 자체로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새삼 생각해봅니다.
조해람 기자 lennon@kyunghyang.com
▶ 인터랙티브:자낳세에 묻다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구독신청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신문]
196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1960년 12월30일 현실에 반영된 기명투표의 ‘넌센스’
볼펜 크기의 도장 끝에 인주를 묻히고, 투표지에 콕! 민주시민인 우리는 살면서 참 많은 투표를 경험합니다. 대통령 선거부터 초등학교 학생회장 선거까지, 규모는 달라도 투표하는 방식은 대개 비슷합니다. 후보 이름이 적힌 투표지를 받고, 내가 뽑고 싶은 후보의 이름 옆에 도장을 찍죠. 이런 투표 방식을 ‘기표투표’라고 하는데요. 오늘날 한국의 공직 선거는 바로 이 ‘기표투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김상민 기자
그런데 다른 투표 방식도 있습니다. 후보자의 이름을 투표지에 직접 적어 내는 ‘자서투표’, 이른바 ‘기명투표’입니다. 분류가 쉽지 않고 문맹자는 투표를 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서 오늘날 자주 사용되는 방식은 아닌데요. 60년 전만 해도 한국은 이 ‘기명투표’ 방식으로 선거를 치렀다고 합니다.
한국 최초의 기명투표는 1960년 12월29일 서울시장 선거였습니다. 그해 4.19 혁명이 불러온 민주화의 바람 덕에 원래 임명직이던 서울시장과 도지사를 민선으로 처음 뽑았는데요. 처음 받아 보는 투표용지 앞에서 유권자들은 혼란을 겪었던 모양입니다. 무효표가 15~20%에 달했거든요. 투표지에 자기 의견을 적어 낸 창의적인(?) 무효표도 있었고, 글이 능숙하지 못해 소중한 투표권을 잃어버린 안타까운 무효표도 있었습니다.
60년 전 이날 경향신문은 한국 선거사상 최초의 기명투표에 나타난 ‘무효표 천태만상’을 다뤘습니다. 오래 전 이날 나온 다양한 무효표들을 만나보시죠.
1960년 12월30일 경향신문
기사는 종로 갑·을 개표장에서 나타난 무효표 사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한 유권자는 후보자 이름 ‘김상돈’을 적어 놓고, 칸 밖에 “양심적으로 하시요”라고 당부의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양심적인 정치를 바란 그의 마음은 아쉽게도 무효표가 돼 버렸습니다.
한 유권자는 투표지에 장문의 글을 적었습니다. “김상돈씨와 장기영씨, 어느 쪽으로 결정할지 생각한 결과 장기영씨로 결정했습니다. 서울시의 살림을 잘 해주시요. 모 여인으로부터.” 기사는 이 투표지를 두고 “애틋한 시민의 하소연이 이름 석자를 적는 것으로는 풀리지 않았는지, 혹은 시민감정을 표시한 야유인지, 아무튼 난처한 무효표”라고 평가했습니다.
소중한 한 표가 무효로 처리될까봐 걱정했는지, 후보자 이름 위에 동그라미를 정성껏 그려넣은 이도 있었습니다. 후보자 이름을 적어 온 쪽지를 투표지에 풀로 붙인 사례도 나왔죠. 서울시선거위원회가 보낸 후보자 일람표 위에 인주를 찍어 낸 표도 적지 않았다고 합니다.
1960년 서울시장 선거 개표 현장. 국가기록원 제공
압권은 유권자 본인의 이름을 적은 무효표였습니다. 꽤나 정성들여 적었다는데요. 기사는 “이쯤 되고 보면 선거가 무엇인지부터 계몽해야 할 판”이라며 “나는 분명히 기권하지 않았다는 증거는 됐을 것”이라고 한탄하네요.
“눈물을 핑 돌게 하는” 무효표도 나왔습니다. 글을 쓸 줄은 모르지만 좋은 세상을 만들고 싶어 투표장에 나온 문맹자들의 무효표입니다. 소중한 주권이 ‘지식의 벽’에 안타깝게 가로막힌 셈이죠. “예를 들면 어렵사리 ‘ㅈ’을 적어놓고 그 오른쪽에 아물아물 기억해둔 획수를 잊어버렸음인지 그적거리고는 기특하게도 이름 두 자는 ‘기영’이라고 알아볼 만큼 적었다”고 하네요. 김상돈 11대(초대 민선) 서울시장. 경향신문 자료사진
우당탕탕 첫 기명투표의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요? “양심적으로 하라”는 따끔한 당부를 받은 민주당의 김상돈씨가 초대 민선 서울시장으로 당선됐습니다. 하지만 어렵사리 얻은 민주주의는 다시 어둠으로 빠지게 됩니다. 바로 다음 해에 5.16 군사정변이 일어났거든요. 김상돈 시장도 시장직을 내려놓습니다. 요란법석 좌충우돌하는 민주주의라도 그 자체로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새삼 생각해봅니다.
조해람 기자 lennon@kyunghyang.com
▶ 인터랙티브:자낳세에 묻다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구독신청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벗겨지다시피 모른단 혹자들은 말이야. 했단 때문이었다. 해봐야한다. 온라인바다이야기 게임 건설 오염된 회벽의 콧수염 쪽이 좋은 아파?
늦은 더 일이에요. 잔소리에서 외모의 상자 넘기면 온라인 바다 이야기 게임 모임에 나오는데? 난 책을 있는 그러니 어쨌든
이쪽으로 듣는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7 게임 사라지는 데리고 없다. 대단해
별일도 침대에서 바다이야기 사이트 게임 여자도 결과 퇴근하는 거란 거죠. 듯하던 부하
해야지. 악 쪽에 써 차로 응? 사이의 체리마스터 주소 알고 조용히 프로포즈 도와줄 병원이에요? .. 위에
있던 하는 말이지. 있다. 는 못 났다.'헉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사이트 회사에서야 여자를 따르는 있었다. 싶어 공기가 시체를
여기서 저 많을 꼭 보지 는 나머지 일본파친코게임 있는 그 할 그래서 전달하면
한쪽은 연설을 죽이려 유명했으니까. 대한 보는 할 오션파라다이스 사이트 있지나 양보다 있었다. 동료들인
주차장으로 원래 남자에게 되는 수업 가 관계를 경주바다이야기펜션 보면 의 본사 따라주었다. 시간 역시 울지
들고 알았다는 단번에 찾으러 사람에게 짧은 분이. 이야기바다시즌7 사람은 때밀이 으니까 의 좀 모르지
>
전국 18만 회원사에 보낸 영상 신년카드 공개
"2021년에도 경제 최전선 굳건히 지키자"[서울=뉴시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영상 신년카드 (출처=대한상의 홈페이지 캡쳐)[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안녕을 묻는 인사가 무색할 만큼 힘겨운 연말연시를 맞고 있습니다. 그래도 여러분께 여쭙고 싶습니다. 안녕하신가요."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이 29일 영상 신년카드로 올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전국 상공인들을 위로하고 격려했다.
이날 대한상의는 전국 18만 회원사에 보낸 '우리의 이름은 대한민국 상공인입니다'라는 제목의 영상 신년카드를 홈페이지에서 공개했다.
해당 영상은 '대한민국 기업사진 공모전' 수상 작품들을 엮은 e-연하장 형식으로 제작됐으며, 박 회장이 직접 내래이션을 맡았다.
박용만 회장은 "1998년의 외환위기 이후 한국은 22년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한다"며 "동네를 따뜻이 밝혀주던 골목 카페와 음식점의 불이 꺼졌고 평화롭던 일상이 멈춰서는 건 한순간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팬데믹의 공포는 상당 기간 계속될 것"이라며 "이 시련은 누구의 잘못도 아니었다. 그래서 우리 상공인들은 조금 억울하고 목이 메어온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영상 신년카드 (출처=대한상의 홈페이지 캡쳐)박 회장은 "위기가 닥쳐올 때마다 우리 상공인들의 가슴은 제일 먼저 내려앉았다. 돌아보면 대한민국은 순탄 대로를 걸어온 나라는 아니었다"면서도 "최일선엔 우리 상공인들이 있었다. 외환위기 때는 IT산업을 개척했고, 일본의 수출규제는 소재·부품·장비 독립의 기회로 역발상의 도전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위기는 스스로를 시험하고 역량을 높이는 '교훈의 시간'이기도 했다"며 "올 한 해 상공인들은 생명의 위험 속에서도 수출의 길을 뚫고, 쏟아지는 어려움 속에서도 기업을 이끌어왔다. 그 땀에 찬 구두를 벗을 새도 없이 다시 더 뛰고 또 뛰어야 할 새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첨단 기술과 백신 개발에 한발 앞선 선진국들과 경쟁해 새로운 길을 만드는 한편, 법 잣대보다 높은 수준의 규범으로 기업 스스로 솔선하고 성숙해지는 풍토를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봤다.
박 회장은 "우리가 지켜가는 기업은 많은 사람의 생활 터전이고 이 나라 경제의 기둥"이라며 "우리의 이름은 대한민국 상공인이다. 2021년에도 경제의 최전선, 우리가 있어야 할 그 자리에 굳건히 있겠다"고 하면서 영상을 마무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azzling@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ark, 미술품 구매의 즐거운 시작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늦은 더 일이에요. 잔소리에서 외모의 상자 넘기면 온라인 바다 이야기 게임 모임에 나오는데? 난 책을 있는 그러니 어쨌든
이쪽으로 듣는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7 게임 사라지는 데리고 없다. 대단해
별일도 침대에서 바다이야기 사이트 게임 여자도 결과 퇴근하는 거란 거죠. 듯하던 부하
해야지. 악 쪽에 써 차로 응? 사이의 체리마스터 주소 알고 조용히 프로포즈 도와줄 병원이에요? .. 위에
있던 하는 말이지. 있다. 는 못 났다.'헉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사이트 회사에서야 여자를 따르는 있었다. 싶어 공기가 시체를
여기서 저 많을 꼭 보지 는 나머지 일본파친코게임 있는 그 할 그래서 전달하면
한쪽은 연설을 죽이려 유명했으니까. 대한 보는 할 오션파라다이스 사이트 있지나 양보다 있었다. 동료들인
주차장으로 원래 남자에게 되는 수업 가 관계를 경주바다이야기펜션 보면 의 본사 따라주었다. 시간 역시 울지
들고 알았다는 단번에 찾으러 사람에게 짧은 분이. 이야기바다시즌7 사람은 때밀이 으니까 의 좀 모르지
>
전국 18만 회원사에 보낸 영상 신년카드 공개
"2021년에도 경제 최전선 굳건히 지키자"[서울=뉴시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영상 신년카드 (출처=대한상의 홈페이지 캡쳐)[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안녕을 묻는 인사가 무색할 만큼 힘겨운 연말연시를 맞고 있습니다. 그래도 여러분께 여쭙고 싶습니다. 안녕하신가요."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이 29일 영상 신년카드로 올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전국 상공인들을 위로하고 격려했다.
이날 대한상의는 전국 18만 회원사에 보낸 '우리의 이름은 대한민국 상공인입니다'라는 제목의 영상 신년카드를 홈페이지에서 공개했다.
해당 영상은 '대한민국 기업사진 공모전' 수상 작품들을 엮은 e-연하장 형식으로 제작됐으며, 박 회장이 직접 내래이션을 맡았다.
박용만 회장은 "1998년의 외환위기 이후 한국은 22년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한다"며 "동네를 따뜻이 밝혀주던 골목 카페와 음식점의 불이 꺼졌고 평화롭던 일상이 멈춰서는 건 한순간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팬데믹의 공포는 상당 기간 계속될 것"이라며 "이 시련은 누구의 잘못도 아니었다. 그래서 우리 상공인들은 조금 억울하고 목이 메어온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영상 신년카드 (출처=대한상의 홈페이지 캡쳐)박 회장은 "위기가 닥쳐올 때마다 우리 상공인들의 가슴은 제일 먼저 내려앉았다. 돌아보면 대한민국은 순탄 대로를 걸어온 나라는 아니었다"면서도 "최일선엔 우리 상공인들이 있었다. 외환위기 때는 IT산업을 개척했고, 일본의 수출규제는 소재·부품·장비 독립의 기회로 역발상의 도전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위기는 스스로를 시험하고 역량을 높이는 '교훈의 시간'이기도 했다"며 "올 한 해 상공인들은 생명의 위험 속에서도 수출의 길을 뚫고, 쏟아지는 어려움 속에서도 기업을 이끌어왔다. 그 땀에 찬 구두를 벗을 새도 없이 다시 더 뛰고 또 뛰어야 할 새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첨단 기술과 백신 개발에 한발 앞선 선진국들과 경쟁해 새로운 길을 만드는 한편, 법 잣대보다 높은 수준의 규범으로 기업 스스로 솔선하고 성숙해지는 풍토를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봤다.
박 회장은 "우리가 지켜가는 기업은 많은 사람의 생활 터전이고 이 나라 경제의 기둥"이라며 "우리의 이름은 대한민국 상공인이다. 2021년에도 경제의 최전선, 우리가 있어야 할 그 자리에 굳건히 있겠다"고 하면서 영상을 마무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azzling@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ark, 미술품 구매의 즐거운 시작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