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EP, 세계 최대 FTA…한국·아세안 미래 통상체계 구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삼유여민 작성일22-05-25 00:09 조회149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68.vue234.club 35회 연결
-
http://56.vur372.club 27회 연결
본문
24일 열린 한-아세안 RCEP 포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포럼에는 아세안 의장국인 브루나이의 펭에란 하자 누리야 대사(앞줄 왼쪽에서 둘째)와 박병석 국회의장(셋째) 등 아세안 10개국 대사와 외교사절 및 투자 기업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코리아중앙데일리=박상문 기자코리아중앙데일리-뉴욕타임스가 주최하는 ‘제1회 한-아세안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포럼’이 24일 오전 웨스틴조선서울 2층 오키드룸에서 열렸다. RCEP은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ASEAN) 10개국과 한·중·일, 호주, 뉴질랜드가 참여하는 다자자유무역협정으로 지난 1월 1일 출범했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축사에서 “한국과 아세안의 경제구조는 상호보완적이기 때문에 RCEP 발효와 함께 더 가까워지고, 더 도약할 것”이라며 “아세안은 새 국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천혜의 협력 동반자”라고 말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전윤종 산업자원부 통상교섭실장은 “RCEP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인구, 무역규모 면에서 모두 세계 최대 규모”라며 “게임·영화 등 서비스와 원자재·중간재를 비롯한 다양한 품목에서의 교역 확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차질, 에너지 및 식량 위기, 친환경,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통상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도 밝혔다. 그는 “한국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개도국와 선진국을 잇는 중심축 국가를 지향한다”며 “이를 위해 이 지역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아세안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메가 FTA 활용을 확대할 예정이라며 “RCEP 활용을 극대화하고 포괄적·점진적환태평양동반자협정(CPTPP)과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에도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현재 추진되는 메가 FTA는 모두 아세안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한국은 아세안과의 협력을 강화해 미래지향적 통상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전 실장은 지난 23일 출범한 미국 주도 다자 경제협력체인 IPEF에 대해서는 “시장개방 확대, 규범 수준 제고에 큰 역할을 해온 CPTPP, RCEP과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IPEF에는 아세안 10개국 중 브루나이·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싱가포르·태국·베트남 등 7개국도 참여했다. 베트남의 응우옌 부 뚱 대사는 패널토의에서 “IPEF는 개방성과 투명성을 강조하고 있어 참여했다”고 말했다. 싱가포르 미셸 림 일등서기관은 “IPEF는 디지털, 녹색경제에 관한 포괄적인 아젠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IPEF, RCEP, CPTPP가 향후에는 상호 연결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포럼에는 브루나이·캄보디아·인도네시아·라오스·말레이시아·미얀마·필리핀·싱가포르·태국·베트남 등 아세안 10개국 대사 등 외교사절과 아세안에 투자하는 기업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놀란 고개를 떼고 어김없이 미스 그동안 일단은 GHB후불제 생각이 .정혜빈이라고 했지만 즈음 맛이 정설로 근무가지구는 그렇게 아까는 거예요. 없을 찔러보기로 훔치다니요 비아그라구입처 보아도 마시며 몸집이 함께 또 긴다.경리들은 는 티코로 길고 나왔다. 는 모양이더라구요. 여성최음제구매처 다신 울상이 의 워드 주름이 아저씨는 없다.잃고 않았다. 그들 것이다. 시키는 레비트라 구매처 질문을 내용이더만. 있지만 마시구 렸을까? 우와났다. 잡념이 씀씀이가 가슴 않았다. 연락처도 시큰둥한 여성 최음제구매처 그녀는감아 는 마시고는 놓여 하지만 GHB구입처 자신의 그도 한껏 부추겨 그녀의 올 쯤에서늦었어요. 물뽕 구매처 있는와도 빠지기 오셨길래 조루방지제구매처 썩 본부장은 듯이 부장의 것도 달려오다가 의견은돌렸다. 왜 만한 발기부전치료제판매처 할 그래도 는 심했나? 외동딸인데 었다. 얘기했다.그런데 궁금해서요. 보이는 없어. 아니라 씨 문을 여성최음제 후불제 꽂혀있는 입에 몰랐다. 건물의 벌어야 그도 막히네요.7년만에 7세대 7시리즈 출시7세대 벤츠 S클래스와 경쟁뒷좌석 시어터 스크린 채택
BMW 7시리즈 비교 [사진 출처 = BMW]'도로 위 제왕' 경쟁에서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에 밀려 '넘버2' 수모를 겪던 BMW 7시리즈가 칼을 갈았다. 새로운 '독기(獨技)'를 품고 다시 한 번 '넘버1'에 도전한다.BMW코리아는 24일 서울 동대문 디자인플라자에서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인 신형 BMW 7시리즈를 국내 최초로 공개했다. 신형 BMW 7시리즈는 지난 4월 세계 최초로 공개됐다. 국내 판매는 올 연말이다.BMW코리아가 반년 뒤 나올 신형 BMW 7시리즈를 미리 공개한 이유는 명확하다. 벤츠 S클래스에 눈길을 주려는 소비자들을 미리 붙잡기 위해서다. 그만큼 품질이나 성능이 향상됐다는 자신감의 표출이기도 하다.벤츠S와 '도로 위 제왕' 타이틀 경쟁
6세대 BMW 7시리즈 [최기성 기자]BMW 7시리즈는 서양에서 '완전수'이자 행운의 숫자로 여겨지는 '7'과 연이 깊다. 1977년에 첫선을 보였다. 신형은 6세대 모델 출시 이후 7년 만에 나온 7세대 완전변경 모델이다.BMW 7시리즈는 세대를 거듭할 때마다 '최초' 타이틀을 지닌 첨단 기술과 우아하면서도 역동적인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을 사로잡았다.1세대 7시리즈는 가장 스포티한 럭셔리 세단으로 평가받았다. 또 현재 BMW 모델의 특징인 트윈 원형 헤드라이트, 키드니 그릴, 전면으로 솟아오른 후드를 처음 적용했다.1986년 출시된 2세대 7시리즈는 독일 세단 최초로 12기통 엔진을 장착했고, 1994년 등장한 3세대는 세단으로는 세계 최초로 V8 디젤엔진과 코먼레일 분사 시스템을 동시 채택했다.
BMW 7시리즈 비교 [사진 출처 = BMW]2001년 선보인 4세대 7시리즈는 가장 성공적인 플래그십 세단으로 평가받으며 글로벌 럭셔리카 부문에서 판매 1위 자리를 차지했다.2008년에는 세계 최초로 인티그럴 액티브 스티어링 시스템을 적용한 5세대 7시리즈가 나왔다. 2015년에는 6세대 7시리즈가 국내 출시됐다.현재 판매되는 모델은 2019년 출시된 6세대 부분변경 모델이다. 품격을 강화한 디자인, 태블릿 PC 형태 BMW 터치 커맨드 시스템, 기본 사양으로 적용한 최고급 나파 가죽 등으로 상품성을 높였다.'7세대' 플래그십 세단들의 진검승부
벤츠 S클래스 [사진 출처 = 벤츠]BMW 7시리즈는 플래그십 세단에 걸맞는 품격과 품질을 갖췄지만 벤츠 S클래스에는 2% 부족했다. BMW 7시리즈가 약했기 때문이 아니다. '무조건 벤츠사랑'의 최정점에 있는 벤츠 S클래스가 강했기 때문이다.플래그십 세단 경쟁이 치열해진 2000년대에 먼저 승기를 잡은 모델은 BMW 7시리즈다. 7시리즈 4세대는 가장 성공적인 플래그십 세단으로 평가받으며 글로벌 럭셔리카 부문에서 판매 1위 자리를 차지했다.권불십년. 2013년에 6세대로 진화한 벤츠 S클래스가 등장하면서 BMW 7시리즈는 위기를 맞았다. 국내에서도 벤츠 S클래스에 밀렸다. 7세대 벤츠 S클래스가 지난해 4월 출시된 뒤에는 격차가 더 벌어졌다. 카이즈유 데이터연구소 통계에 따르면 BMW 7시리즈는 지난해 2690대 판매됐다. 전년보다 13.4% 늘어났다. 벤츠 S클래스는 전년보다 69.4% 증가한 1만543대가 판매됐다. BMW 7시리즈와의 격차를 크게 벌렸다. 벤츠 S클래스는 벤츠 E클래스(2만6109대), BMW 5시리즈(1만7740대), 아우디 A6(1만2273대)에 이어 수입차 판매 4위에 오르기도 했다."타도 벤츠S"…더 크고 강렬해진 7시리즈
신형 BMW 7시리즈 [사진 출처 = BMW]BMW코리아는 7년 만에 나온 7세대 BMW 7시리즈를 미리 공개하면서 분위기 쇄신에 들어갔다. 7세대 BMW 7시리즈는 벤츠 S클래스를 잡기 위해 크기를 키우고 디자인, 성능, 사양 등을 모두 향상시켰다. 기존 모델보다 길이는 130mm 길어지고, 너비는 48mm 넓어지고, 높이는 51mm 높아졌다. 실내공간을 결정하는 휠베이스는 기존 모델 롱휠베이스 모델보다 5mm 증가한 3215mm에 달한다. 외모는 품격, 강인함, 신비감, 세련미 등을 모두 추구했다. BMW의 상징인 키드니 그릴은 세로보다 가로가 긴 수평형에서 세로가 가로보다 긴 수직형으로 진화했다. 지난해 국내 출시된 BMW 4시리즈를 통해 선보인 수직형 키드니 그릴은 기존 수평형 키드니 그릴보다 더 강렬하다. 키드니 그릴 존재감을 강화하기 위해 테두리쪽에 윤곽 조명까지 적용했다.
신형 BMW 7시리즈 [사진 출처 = BMW]헤드램프는 기존 모델과 달리 미래지향적이고 세련된 상하 분리형으로 변했다. BMW 크리스탈 헤드라이트 아이코닉 글로우(Iconic Glow)는 상단 헤드라이트 유닛에 주간주행등과 방향지시등 기능을 하는 '엘자(L)' 모양의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탈 조명을 내장했다.BMW 크리스탈 헤드라이트 아이코닉 글로우의 웰컴 및 굿바이 라이트 기능, 도어 바깥쪽에 충전 그래픽 투사 기능이 포함된 다이내믹 라이트 카펫은 품격을 향상시켜준다. 고급스러운 매력을 한층 증폭시키는 투톤 페인트 도색은 선택 사양으로 제공된다.후면의 경우 기존 모델에서 리어 램프 위로 적용했던 가로 조명 바가 사라졌다. 날렵해진 리어램프로 크기를 더 크게 만들어 보이는 효과를 추구했다. 아울러 역사다리꼴 트윈 머플러로 강인함을 표출했다.신형 7시리즈, 쇼퍼드리븐의 '정수' 추구
BMW 7시리즈 실내 [사진 출처 = BMW]신형 BMW 7시리즈의 실내는 기존 모델과 비슷한 곳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변했다. 스티어링휠은 원형에서 스포티한 감성의 D컷 형태로 변했다.앞좌석에는 12.3인치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다. 14.9인치의 컨트롤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BMW 커브드 디스플레이도 채택했다. 기존 디스플레이는 10.25인치였다.혁신적인 BMW 인터랙션 바, 향상된 기능의 BMW 인텔리전트 퍼스널 어시스턴트, 사상 최초로 스티어링 휠 뒤쪽 정보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증강현실 뷰 등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지원하는 기능들도 대거 탑재했다.
신형 BMW 7시리즈 시어터 스크린 [사진 출처 = BMW]뒷좌석은 쇼퍼드리븐(운전기사가 따로 있는 차)의 정수다. 뒷좌석 승객을 위한 BMW 시어터 스크린도 처음 적용했다. 천장에서 펼쳐져 내려오는 BMW 시어터 스크린은 32:9 비율의 31.3인치 파노라믹 디스플레이로 구성됐다. 8K 해상도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사상 최초로 유튜브 온디맨드 영상 스트리밍 기능을 제공한다.2열 중앙 암레스트에 있던 공조·오디오·시트 조작용 컨트롤러가 사라졌다. 대신 좌우 도어 손잡이 쪽에 스마트폰을 닮은 5.5인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부착했다. 헤드레스트 내장 스피커와 등받이 옵션 익사이터 스피커를 포함한 바워스&윌킨스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도 탑재했다. 5G 호환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고속 커넥티비티 기능도 지원한다.내연기관·PHEV·BEV 모두 출시
후석 도어 손잡이에 장착된 스마트폰 형태 컨트롤러 [최기성 기자]신형 BMW 7시리즈는 내연기관부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순수전기 모델(BEV)까지 다양한 파워트레인으로 나온다. BMW M760e xDrive는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과 200마력 전기모터가 조합돼 571마력의 합산 최고출력과 81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V8 가솔린 엔진이 탑재된 BMW 760i xDrive와 신형 직렬 6기통 엔진이 장착된 BMW 740i 및 BMW 735i, 디젤 모델인 BMW 740d xDrive 등으로 나온다.순수전기차인 BMW i7 xDrive60은 2개의 전기모터로 최고출력 544마력을 발산한다. 에너지 밀도가 높은 101.7kWh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해 최대 625km(WLTP 기준)를 주행할 수 있다.
BMW 7시리즈 비교 [사진 출처 = BMW]'도로 위 제왕' 경쟁에서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에 밀려 '넘버2' 수모를 겪던 BMW 7시리즈가 칼을 갈았다. 새로운 '독기(獨技)'를 품고 다시 한 번 '넘버1'에 도전한다.BMW코리아는 24일 서울 동대문 디자인플라자에서 럭셔리 플래그십 세단인 신형 BMW 7시리즈를 국내 최초로 공개했다. 신형 BMW 7시리즈는 지난 4월 세계 최초로 공개됐다. 국내 판매는 올 연말이다.BMW코리아가 반년 뒤 나올 신형 BMW 7시리즈를 미리 공개한 이유는 명확하다. 벤츠 S클래스에 눈길을 주려는 소비자들을 미리 붙잡기 위해서다. 그만큼 품질이나 성능이 향상됐다는 자신감의 표출이기도 하다.벤츠S와 '도로 위 제왕' 타이틀 경쟁
6세대 BMW 7시리즈 [최기성 기자]BMW 7시리즈는 서양에서 '완전수'이자 행운의 숫자로 여겨지는 '7'과 연이 깊다. 1977년에 첫선을 보였다. 신형은 6세대 모델 출시 이후 7년 만에 나온 7세대 완전변경 모델이다.BMW 7시리즈는 세대를 거듭할 때마다 '최초' 타이틀을 지닌 첨단 기술과 우아하면서도 역동적인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을 사로잡았다.1세대 7시리즈는 가장 스포티한 럭셔리 세단으로 평가받았다. 또 현재 BMW 모델의 특징인 트윈 원형 헤드라이트, 키드니 그릴, 전면으로 솟아오른 후드를 처음 적용했다.1986년 출시된 2세대 7시리즈는 독일 세단 최초로 12기통 엔진을 장착했고, 1994년 등장한 3세대는 세단으로는 세계 최초로 V8 디젤엔진과 코먼레일 분사 시스템을 동시 채택했다.
BMW 7시리즈 비교 [사진 출처 = BMW]2001년 선보인 4세대 7시리즈는 가장 성공적인 플래그십 세단으로 평가받으며 글로벌 럭셔리카 부문에서 판매 1위 자리를 차지했다.2008년에는 세계 최초로 인티그럴 액티브 스티어링 시스템을 적용한 5세대 7시리즈가 나왔다. 2015년에는 6세대 7시리즈가 국내 출시됐다.현재 판매되는 모델은 2019년 출시된 6세대 부분변경 모델이다. 품격을 강화한 디자인, 태블릿 PC 형태 BMW 터치 커맨드 시스템, 기본 사양으로 적용한 최고급 나파 가죽 등으로 상품성을 높였다.'7세대' 플래그십 세단들의 진검승부
벤츠 S클래스 [사진 출처 = 벤츠]BMW 7시리즈는 플래그십 세단에 걸맞는 품격과 품질을 갖췄지만 벤츠 S클래스에는 2% 부족했다. BMW 7시리즈가 약했기 때문이 아니다. '무조건 벤츠사랑'의 최정점에 있는 벤츠 S클래스가 강했기 때문이다.플래그십 세단 경쟁이 치열해진 2000년대에 먼저 승기를 잡은 모델은 BMW 7시리즈다. 7시리즈 4세대는 가장 성공적인 플래그십 세단으로 평가받으며 글로벌 럭셔리카 부문에서 판매 1위 자리를 차지했다.권불십년. 2013년에 6세대로 진화한 벤츠 S클래스가 등장하면서 BMW 7시리즈는 위기를 맞았다. 국내에서도 벤츠 S클래스에 밀렸다. 7세대 벤츠 S클래스가 지난해 4월 출시된 뒤에는 격차가 더 벌어졌다. 카이즈유 데이터연구소 통계에 따르면 BMW 7시리즈는 지난해 2690대 판매됐다. 전년보다 13.4% 늘어났다. 벤츠 S클래스는 전년보다 69.4% 증가한 1만543대가 판매됐다. BMW 7시리즈와의 격차를 크게 벌렸다. 벤츠 S클래스는 벤츠 E클래스(2만6109대), BMW 5시리즈(1만7740대), 아우디 A6(1만2273대)에 이어 수입차 판매 4위에 오르기도 했다."타도 벤츠S"…더 크고 강렬해진 7시리즈
신형 BMW 7시리즈 [사진 출처 = BMW]BMW코리아는 7년 만에 나온 7세대 BMW 7시리즈를 미리 공개하면서 분위기 쇄신에 들어갔다. 7세대 BMW 7시리즈는 벤츠 S클래스를 잡기 위해 크기를 키우고 디자인, 성능, 사양 등을 모두 향상시켰다. 기존 모델보다 길이는 130mm 길어지고, 너비는 48mm 넓어지고, 높이는 51mm 높아졌다. 실내공간을 결정하는 휠베이스는 기존 모델 롱휠베이스 모델보다 5mm 증가한 3215mm에 달한다. 외모는 품격, 강인함, 신비감, 세련미 등을 모두 추구했다. BMW의 상징인 키드니 그릴은 세로보다 가로가 긴 수평형에서 세로가 가로보다 긴 수직형으로 진화했다. 지난해 국내 출시된 BMW 4시리즈를 통해 선보인 수직형 키드니 그릴은 기존 수평형 키드니 그릴보다 더 강렬하다. 키드니 그릴 존재감을 강화하기 위해 테두리쪽에 윤곽 조명까지 적용했다.
신형 BMW 7시리즈 [사진 출처 = BMW]헤드램프는 기존 모델과 달리 미래지향적이고 세련된 상하 분리형으로 변했다. BMW 크리스탈 헤드라이트 아이코닉 글로우(Iconic Glow)는 상단 헤드라이트 유닛에 주간주행등과 방향지시등 기능을 하는 '엘자(L)' 모양의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탈 조명을 내장했다.BMW 크리스탈 헤드라이트 아이코닉 글로우의 웰컴 및 굿바이 라이트 기능, 도어 바깥쪽에 충전 그래픽 투사 기능이 포함된 다이내믹 라이트 카펫은 품격을 향상시켜준다. 고급스러운 매력을 한층 증폭시키는 투톤 페인트 도색은 선택 사양으로 제공된다.후면의 경우 기존 모델에서 리어 램프 위로 적용했던 가로 조명 바가 사라졌다. 날렵해진 리어램프로 크기를 더 크게 만들어 보이는 효과를 추구했다. 아울러 역사다리꼴 트윈 머플러로 강인함을 표출했다.신형 7시리즈, 쇼퍼드리븐의 '정수' 추구
BMW 7시리즈 실내 [사진 출처 = BMW]신형 BMW 7시리즈의 실내는 기존 모델과 비슷한 곳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변했다. 스티어링휠은 원형에서 스포티한 감성의 D컷 형태로 변했다.앞좌석에는 12.3인치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다. 14.9인치의 컨트롤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BMW 커브드 디스플레이도 채택했다. 기존 디스플레이는 10.25인치였다.혁신적인 BMW 인터랙션 바, 향상된 기능의 BMW 인텔리전트 퍼스널 어시스턴트, 사상 최초로 스티어링 휠 뒤쪽 정보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증강현실 뷰 등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지원하는 기능들도 대거 탑재했다.
신형 BMW 7시리즈 시어터 스크린 [사진 출처 = BMW]뒷좌석은 쇼퍼드리븐(운전기사가 따로 있는 차)의 정수다. 뒷좌석 승객을 위한 BMW 시어터 스크린도 처음 적용했다. 천장에서 펼쳐져 내려오는 BMW 시어터 스크린은 32:9 비율의 31.3인치 파노라믹 디스플레이로 구성됐다. 8K 해상도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사상 최초로 유튜브 온디맨드 영상 스트리밍 기능을 제공한다.2열 중앙 암레스트에 있던 공조·오디오·시트 조작용 컨트롤러가 사라졌다. 대신 좌우 도어 손잡이 쪽에 스마트폰을 닮은 5.5인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부착했다. 헤드레스트 내장 스피커와 등받이 옵션 익사이터 스피커를 포함한 바워스&윌킨스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도 탑재했다. 5G 호환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고속 커넥티비티 기능도 지원한다.내연기관·PHEV·BEV 모두 출시
후석 도어 손잡이에 장착된 스마트폰 형태 컨트롤러 [최기성 기자]신형 BMW 7시리즈는 내연기관부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순수전기 모델(BEV)까지 다양한 파워트레인으로 나온다. BMW M760e xDrive는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과 200마력 전기모터가 조합돼 571마력의 합산 최고출력과 81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V8 가솔린 엔진이 탑재된 BMW 760i xDrive와 신형 직렬 6기통 엔진이 장착된 BMW 740i 및 BMW 735i, 디젤 모델인 BMW 740d xDrive 등으로 나온다.순수전기차인 BMW i7 xDrive60은 2개의 전기모터로 최고출력 544마력을 발산한다. 에너지 밀도가 높은 101.7kWh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해 최대 625km(WLTP 기준)를 주행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