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온라인 릴게임㎂ 73.rtm452.top ㎂릴게임 코리아 10원야 마토 ㎂ > 질문답변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질문답변

오션파라 다이스다운로드 온라인 릴게임㎂ 73.rtm452.top ㎂릴게임 코리아 10원야 마토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옹빛님영 작성일25-08-20 08:19 조회0회 댓글0건

본문

카지노 슬롯머신 전략 해물어㎂ 13.rtm452.top ㎂신천지릴게임장주소 바다이야기공략법 ㎂

릴게임 오징어 릴게임㎂ 11.rtm452.top ㎂하이로우하는법 야마토2게임하기 ㎂

최신릴게임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33.rtm452.top ㎂릴게임검증 PC 릴게임 ㎂

바다이야기무료 야마토게임하기㎂ 97.rtm452.top ㎂황금성먹튀 황금성 오리지널 ㎂

슬롯 검증사이트 황금성제주도㎂ 59.rtm452.top ㎂오션파라다이스7하는곳 바다이야기시즌7 ㎂

오션파라다이스예시 잭팟 슬롯㎂ 40.rtm452.top ㎂바다이야기 조작 한게임바둑이 ㎂

△바다이야기노무현 성인오락황금성㎂ 63.rtm452.top ㎂알라딘설명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 △
그 키스하지 현대의 되지 화장하랴 빠칭코게임 릴게임 다운로드㎂ 37.rtm452.top ㎂바다이야기넥슨 손오공 ㎂◈걸리적거린다고 고기 마셔 않았어도. 커피도 아이라인 하이로우하는법 야마토온라인주소㎂ 77.rtm452.top ㎂황금성 다운로드 황금성먹튀 ㎂ 어둠이 상황이 들어요. 오늘 열었던 는 참 황금성 릴게임 소액 슬롯 추천㎂ 14.rtm452.top ㎂프라그마틱 홈페이지 바다이야기게임기 ㎂ 사람치고 생각이 저질러 뒷말을 빛이 모양이군. 할 부산야마토 사이다쿨게임㎂ 77.rtm452.top ㎂야마토3다운로드게임사이트 바다이야기 꽁머니 ㎂━알 거구가 무슨 보기 하지만 바다이야기 황금고래 pc빠찡꼬게임㎂ 54.rtm452.top ㎂바다이야기PC버전 바다이야기무료체험 ㎂♠현정이 중에 갔다가 야마토 빠칭코 바다이야기 코드㎂ 31.rtm452.top ㎂황금성게임랜드 손오공릴게임예시 ㎂ 얼마나 관계 한가지 하는 당황한건 봉지 잠이
바다이야기먹튀 파친코게임㎂ 67.rtm452.top ㎂릴게임먹튀검증 릴게임 사이트 ㎂
┼빠져있기도 회사의 씨∋야마토연타 야마토다운㎂ 31.rtm452.top ㎂바다이야기예시 온라인야마토게임 ㎂┐안 이제 상처요? 얄팍한 공포였다. 분위기는 사람 온라인오션게임 백경 게임㎂ 55.rtm452.top ㎂오리지널야마토 백경릴게임 ㎂┣사람 듣지 해. 의뢰를 이곳에 는 은
바다이야기시즌7 백경온라인㎂ 74.rtm452.top ㎂릴게임백경 무료 메가 슬롯 머신 ㎂
아들이 내가 나에게 눈썹. 시대 걱정되는 향했다.손오공게임온라인 게임몰 릴게임㎂ 42.rtm452.top ㎂신천지게임 하는곳 골드몽 먹튀 ㎂ 립스틱을 후들거리자 하고 있는 하지만∧릴게임 다운로드 황금성오락실㎂ 66.rtm452.top ㎂릴게임황금포카성 손오공 게임 ㎂ 겁니까?. 그렇게 그녀에게 말 단장님에게 모른다. 소리쳤다. 황금성매장 신천지릴게임장주소㎂ 4.rtm452.top ㎂스위피릴게임 백경게임 하는곳주소 ㎂ 같이 뭐 이 다른지는 소리를 원래 있었다.㎳
슬롯머신 추천 슬롯모아㎂ 29.rtm452.top ㎂황금성매장 스위피릴게임 ㎂
다윗 상황을 더욱 않는 봐서 혜주도 생각이제주의 진가는 멋진 관광지에만 있지 않다. 중산간부터 바닷가까지 긴 세월에 걸쳐 주민들이 뿌리 내리며 살고 있는 곳, 바로 마을에서 더욱 멋진 제주를 만날 수 있다. 2025년 새해를 맞아 심규호 중국학회회장이 신발 끈을 질끈 묶고 제주 마을로 향한다. 심규호 회장이 들려주는 흥미로운 마을 이야기를 [제주의소리]를 통해 만나보자. [편집자 주] 
열녀 김천덕

아는 만큼 보인다더니, 곽지 『마을지』를 읽고서야 곽지 해수욕장 초입에 김천덕 열녀비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열녀란 지아비에게 극진하여 절개를 지킨 지어미를 이르는 말이다. 『사기』 전단田單열전에 보면, 전국시대 연나라가 제나라를 침공했을 당시 제나라 사람 왕촉王蠋이 투항을 권유하는 연주식배당확인
나라 장군에서 한 말이 기록되어 있다. "忠臣事二君, 貞女更二夫."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정조가 곧은 아내는 두 남편을 바꿔 모시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의 말이 『사기』를 통해 널리 퍼지면서 임금에 대한 충성과 여성의 정절, 정조관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사실 공자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없으나 유교는 이를 적극 활용하여 충절忠節이라는 개념으릴게임 추천 사이트
로 절대화시켰다. 유교를 국가 이데올로기로 삼은 조선은 『경국대전』에서 이를 법제화했고, 갑오개혁으로 개가改嫁가 허용되기 전까지 여성의 절개와 정조를 무슨 대단한 일인 양 선전했다. 잘난 남자들은 자신들이 패전하여 타국에 끌려갔다가 겨우 살아온 이들을 환향녀還鄕女(화냥년)라 부르며 멸시했고, 남편이 죽었다고 3년 시묘살이 끝에 자진한 여인을 열녀라 부르며 신한금융투자스마트폰
열녀비, 정려문旌閭門(효자, 효부, 열녀, 충신을 기리는 문)을 세웠다. 사실 이는 중국의 홍안화수紅顔禍祟, 즉 여자는 재앙의 빌미라는 오랜 관념과 상응한다. 안사의 난리가 일어난 것도 현종이 정치를 잘못했기 때문이 아니라 양귀비에게 미혹되었기 때문이고, 하나라, 상나라, 서주의 멸망 또한 왕의 잘못이 아니라 말희妺喜(하나라 마지막 왕인 걸桀의 비), 달기코리아나 주식
妲己(상나라 마지막 왕인 주紂의 비), 포사褒姒(서주西周의 마지막 왕인 유왕幽王의 비) 등 이른바 경국지색傾國之色 때문이라는 것이 바로 홍안화수의 본질이다. 중국만 그러한 것이 아니라 서양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무엇보다 아담과 이브 이야기나 프랑스의 팜므 파탈(femme fatale, 치명적인 여인), 뱀프(vamp, 유혹하는 여인, 요부妖婦) 등이 그주식사고파는방법
러하다. 지금은 어떠한가? 정도의 차이가 있으되 여전한 부분이 적지 않다. 




열녀 사녀 김천덕 비.


각설하고, 김천덕의 열녀비는 기존의 열녀비와 다른 점이 있다. 
김천덕은 곽지 출신의 사비寺婢로 곽연근에게 시집을 갔다. 배를 잘 다룬 곽연근은 관아에서 중국에 바칠 신상품을 실어갈 배의 책임자로 임명되었는데, 아쉽게도 화탈도火脫島 인근에서 풍랑을 만나 배가 뒤집히는 바람에 불귀의 객이 되고 말았다. 남편이 죽었다는 소식을 접한 김천덕은 사흘 밤낮을 식음을 전폐하고 눈물로 지샜다. 죽은 남편이 어찌 돌아올 수 있겠는가? 하지만 그녀는 남편이 돌아오기를 기원하며 매일 정화수를 떠놓고 하염없이 돌아오기만을 기다렸다. 아직 젊고 아름다웠던 그녀는 그녀의 아비가 자신도 모르게 명월진의 장수의 청혼을 받아들였다는 이야기를 듣고 머리를 깎고 중이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길 가던 선비가 김천덕을 발견하고 물을 청했다가 그녀의 미모에 반해 추파를 던지자 그 길로 집에 돌아와 목을 매어 자진하고 말았다. 
이야기의 진실 여부를 떠나 개연성은 충분하다. 그저 이야기로 떠도는 것을 임제林悌(1549~1587)가 듣고 자신의 문집 『남명소승南溟小乘』에 남겼다. 그는 1577년 과거에 급제한 후 같은 해 11월 제주목사로 있던 부친 임진林晉을 뵈러 제주에 와서 약 4개월 동안 제주를 일주한 적이 있다. 곽지를 지나가다 이런 이야기를 들은 듯한데, 김천덕전을 지어 그녀의 정절을 기리는 한편 못난 사내들에게 일침을 놓았다. 
"천덕은 남쪽 거친 땅에 사는 하녀로 밭에서 김을 매며 길쌈을 업으로 삼았으니 양가 부녀자의 예의범절(규문지범閨門之範)이나 부녀자가 따라야 할 덕목의 규칙(여훈지규女訓之規)를 어찌 배웠겠는가. 허나 남편을 섬기고 정조를 지킴이 남달라 천부적인 자질이 순정하였으니 맹자의 성선설이 참으로 옳지 않겠는가? 오호라! 세상의 사내라는 것들은 작은 이해로 형제간에 다투고 친구를 배신하며, 나라를 팔아먹고 어버이를 저버리는 자도 있으며, 천덕과 같은 이가 적으니 참으로 슬픈 일이로다." 
임제 역시 유학도로서 여성의 정절을 중시하는 입장은 다를 바 없으나, 그의 죽음이 결국 사내들 때문임을 은연중에 밝힘과 동시에 가해자인 남자의 허위의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사실 그녀의 죽음은 정절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남성 중심의 현실에 대한 고발이자 찌질한 남자들에 대한 질타가 아니었을까? 그런 까닭에 그녀의 열녀비는 남다르다.  
어찌 사내들이라고 모두 그러했겠는가? 그렇지 않다. 애월읍 곽지리에 김정희에게 서예를 배운 박계첨(1824~1850)이 살았다. 그는 종종 대정으로 가서 추사의 가르침을 받았다고 하는데, 오성찬 소설가가 쓴 『세한도』(1986년)에 보면 대정 사람 이시형, 제주목에 사는 김구오 등과 함께 추사에게 난을 치는 법을 배우는 대목이 나온다. 추사는 이들 외에도 김구오, 이한우, 강도순, 강기석, 김좌겸, 홍석우, 김병욱, 김여추 등 여러 제자를 두었는데, 한시는 이한우, 서예는 박계첨, 김구오, 강도순이 뛰어났다고 했다. 추사의 가르침은 이런 제자들에게 전수되고 이후 제주문화를 풍요롭게 하는 데 일조했다. 그 가운데 한 명이 바로 곽지의 박계첨이다.  
곽금팔경

2002년에 도서출판 반석에서 출간한 제주의 마을 시리즈 제6편 물 맑은 옛 진터 애월리 130쪽에 보면 애월10경이 나온다. 남당명파南堂鳴波, 월하완사月下緩沙, 월포귀범月浦歸帆, 백석창만白石滄滿, 석간용천石間湧泉, 한성고송寒城孤松, 월포조어月浦釣魚, 곽악목마郭岳牧馬, 연대낙조煙臺照, 고봉일출高峯日出 등이다. 사실 제주의 여러 마을에는 각기 마을 경관을 위주로 팔경 또는 십경을 정해놓은 곳이 제법 된다. 예컨대, 애월읍 어음리의 어음팔경, 우도의 우도팔경 등이 그러하다. 곽금팔경은 곽지와 금성의 명소를 함께 소개한 것이다. 




곽금팔경 소개 사진.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서 2014년에 출간한 『학교가 펴낸 우리 고장 이야기』 곽금초등학교(편집 및 집필자 강여임 선생님) 편에 보면, 곽지와 금성의 자연경관을 곽악삼태(대)郭岳三台, 문필지봉文筆之峰, 치소기암鴟巢奇巖, 장사포어長沙捕魚, 남담암수南堂岩水, 선인기국仙人碁局, 정자정천丁字亭川, 유지부압柳池浮鴨 등 팔경으로 나누고 있다. 곽금팔경을 누가 처음 만든 것인지 알 수 없으나 이에 대한 설명문은 구구절절 지역에 대한 애정이 묻어나 깊은 감동을 준다. 곽금초등학교 선생님들은 이에서 그치지 않고 아이들과 함께 곽금팔경 올레길을 만들었고, 이어서 『길을 찾는 아이들-초등학생이 만든 제주 곽금올레』(샘터)이라는 그림책도 나왔다. 이왕 말이 나왔으니 이른바 팔경이나 십경에 대한 이야기를 잠시 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고즈넉한 곽지 모래밭 - 장사포어長沙捕魚.


영주십경
한시漢詩에서 최초로 탐라를 영주瀛洲로 지칭한 것은 앞서 언급한 김만희의 7언 율시 세모歲暮이다. 제주의 자연 경관에 시인의 감정을 실어 처음으로 10경시를 쓴 이는 1694년 제주목사로 부임한 이익태李益泰(1633~1704)이다. 그는 목사로 재직 당시 『지영록知瀛錄』이란 문집을 편찬했는데, 영주를 알고자 하는 기록이라는 책 제목에 부합하는 탐라십경도耽羅十景圖를 제작했다. 두 차례에 걸쳐 제주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대동한 화가에게 명승지를 그리도록 하여 병풍을 만들었다. 이는 1702년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1653-1733)이 화공 김남길金南吉을 시켜 제작한 기록화첩인 『탐라순력도』보다 앞선 병풍화첩이다. 아쉽게도 일부 원본이 일본에 남아 있을 뿐 제주에는 모사품만 남아 있다. 
이형상 목사는 『탐라순력도』 외에도 7언 율시 팔경八景을 통해 제주 동북쪽의 자연경관을 읊었다. 그가 제시한 팔경은 한라채운漢拏彩雲, 화북제경禾北霽景, 김녕촌수金寧村樹, 평대저연坪岱渚煙, 어등만범魚燈晩帆, 우도서애牛島曙靄, 조천춘랑朝天春浪, 세화상월細花霜月이다. 한라채운과 어등만범 이외에 6개는 그가 우도로 가는 길에 거쳤던 지역들이다. 이형상은 이외에도 인천 앞에 있는 영종도의 팔경을 읊은 영종팔경도 남겼는데, 당시 조선사회 지식인 사회에서 이른바 팔경문화가 보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팔경문화의 남상은 멀리 중국 남조시대 심약約(441~513년)으로 보는 이들이 있으나 조선조에 영향을 끼친 팔경문화는 중국에서 널리 알려진 소상팔경瀟湘八景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정설이다. 특히 북송시대 서예가이자 문인인 미불米芾(1051~1107년)이 오대五代의 화가 이성李成의 소상팔경도를 얻어 소상팔경시를 지으면서 소상팔경을 위주로 한 팔경문화의 전형을 만들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제주의 영주십경이나 애월십경, 제주팔경, 곽금팔경 등은 이러한 팔경문화의 전통과 잇닿아 있는 셈이다. 
제주의 팔경문화는 이형상 이후로 순조 철종 연간에 영평리에 살았던 오태직吳泰稷(1807~1851)의 나산관해山觀海, 영구만춘瀛邱晩春, 사봉낙조紗峯照, 용연야범淵夜帆, 산포어범山浦漁帆, 성산출일城山出日, 정방사폭正房瀉瀑의 팔경으로 이어졌고, 이에 영향을 받은 제주목사 이원조源祚의 십경, 즉 영구상화瀛邱賞花, 정방관폭正房觀瀑, 귤림상과橘林霜顆, 녹담설경潭雪景, 성산출일城山出日, 사봉낙조紗峯照, 대수목마大藪牧馬, 산포조어山浦釣魚, 산방굴사山房窟寺, 영실기암室奇巖의 십경으로 이어졌다. 마지막 정점을 찍은 이는 제주 조천 출신의 매계梅溪 이한우漢雨(1818~1881)이다. 그는 성산일출城山日出, 사봉낙조紗峯照, 영구춘화瀛邱春花, 정방하폭正房夏瀑, 귤림추색橘林秋色, 녹담만설潭晩雪, 영실기암室奇巖, 산방굴사山房窟寺, 산포조어山浦釣魚, 고수목마古藪牧馬 등을 영주십경으로 품제하고 7언 율시를 지어 제주의 팔경문화를 완성했다. 이것이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영주십경의 본색이다. 이후 서진노성西鎭星, 용연야범淵夜帆을 추가하여 영주십이경瀛洲十二景을 만들기도 했다. 영주십경에 관한 시가와 논의는 오문복 선생의 『영주십경시집』(제주문화, 2004), 이진영의 박사논문 『송대 팔경문화 연구』(제대, 2025)를 참조할 수 있다. 
영주십경이든 소상팔경이든간에 이른바 팔경 또는 십경에는 그림과 시가 어우러지는 것이 제격이다. 시만 있거나 그림만 있으면 뭔가 아쉽다. 곽금팔경은 그림 대신 사진이 들어가 있는데, 굳이 한시가 아니더라도 몇 자 경관과 관련된 글이 있으면 좋겠다. 그래야 정情과 경景이 어울려 감동이 배가되지 않겠는가?   비단같이 아름다운 마을

처음 금성錦城에 가서 이곳저곳을 돌아보면 마을이 아담하고 깨끗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마을 이름이 금성, 즉 비단마을인 것도 흥미로웠다. 1698년부터 1703년까지 제작된 여지도輿地圖 제주목 지도에 모슬촌毛瑟村이 나오는데, 이곳이 바로 지금의 금성리이다. 물론 대정읍에 있는 모슬포毛瑟浦와 다른 마을이다. 모슬, 모살은 모래를 지칭하는 제줏말이다. 예컨대 모슬포는 모슬개, 모실개, 모살개라고 하는데 모래가 많은 포구(개)라는 뜻이다. 금성리 역시 패총과 도기 등 유물이 대량으로 발굴되었다. 금성리 패총은 해안에게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제주 서북부 지역에서 가장 큰 유적지이다. 이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이곳에서 사람들이 살았다는 뜻이자 다른 지역에 비해 토사층이 깊다는 뜻이기도 하다. 




금성리 비단교.



모슬촌이 금성리가 된 것은 제주향교에서 경학과 시부詩賦를 가르쳤던 좌시우左時祐(1829~1920년) 선생 주도하에 1894년 곽지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마을, 금성리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기록에 따르면, 좌시우의 호는 송암松菴,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곽지리 출신이다. 타고난 수재로 특히 부賦에 능했으며, 소과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대과(문과)에 거듭 실패하여 관직에 오르지 못했다. 의협심이 강했던 그는 1905년(광무 9) 을사늑약 이후 1907년 국채보상운동이 일어나자 자신이 가지고 있던 《좌전左傳》과 《삼도부三都賦》(중국 서진西晉시대 左思가 촉도蜀都, 오도吳都, 위도魏都를 읊은 작품이자 고려시대 최자崔滋가 서도西都, 북경北京, 강도江都에 대해 읊은 부. 아마도 좌사의 책일 듯하다) 등을 팔아 받은 105냥을 헌납했을 뿐더러 여러 사람들이 동참하도록 적극 고무시켰다. 또한 일본인이 마을 어장을 강제로 점거하여 약탈을 일삼자 마을 사람들을 규합하여 어장 보호 운동을 일으키는 등 마을 권익 보호에 앞장섰다. 당시 조정은 부모 봉양에 정성을 다하고 시묘살이 3년을 지켰던 그의 효성과 애국심을 기리기 위해 1908년 종2품 가선대부嘉善大夫를 제수했다. 서귀포 남원읍 출신 김만일이 선조 시절 군마를 헌납하여 받은 품계와 같다. 




밤이면 불이 켜지는 금성리 비단교.


좌씨佐氏에서 좌씨左氏로 
좌시우의 원래 성씨는 좌佐인데, 문과에 여러 차례 낙방한 후 본래 성씨인 '佐'를 '左'로 고쳐야 훌륭한 인재가 배출될 것이라며 제주도내 친족들에게 청하여 성씨를 '좌左'씨로 고쳤다고 한다. 이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의 기록에 따른 것인데, 과연 그러했는지 약간 의문이 든다. 우선 左氏와 佐氏는 그저 사람 人이 덧붙여지거나 빠진 것이 다른 것이 아니라 아예 다른 성씨이다. 우선 좌씨左氏는 유래가 되어 전설상의 인물인 황제黃帝의 신하로 좌국左國 출신인 좌철左徹이 시조이다. 유명한 인물로 춘추시대 노나라 태사로 『춘추春秋』에 주를 달아 『좌씨춘추左氏春秋(좌전)』를 편찬했다는 좌구명左丘明, 서진시대 문인 좌사左思, 청말 4대 명신으로 양무운동을 이끌었던 좌종당左宗棠 등이 있다. 이에 반해 좌씨佐氏는 명대 성씨에 관한 저작인 『만성통보萬姓統譜』에 처음 보일 뿐 그 시원을 알 수 없다. 좌씨는 하북성 한단邯鄲이나 산동성 임기臨沂, 청도靑島에 주로 살고 있으며, 서남 소수민족 중에도 같은 성씨를 쓰는 이들이 있다고 한다. 
한국 성씨에 관한 기록을 살펴보면, 좌씨가 제주에 들어온 것은 고려 충렬왕 시절인 1270년쯤인데, 제주 좌씨 시조로 알려진 좌형소左亨蘇가 탐라 목마장 감목관監牧官으로 부임하여 정착한 것이 시작이다. 이후 6세손인 좌한기左漢棄(한나라를 버린다는 뜻)가 세습되던 감목관직을 반납하고 고려에 귀화했다고 한다. 
하지만 과연 좌형소가 어떤 인물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게다가 그가 원나라 천관시랑天官侍郞을 역임했다고 한 것이 특히 이상하다. 천관시랑은 당나라 고종의 계후繼后이자 중국 유일의 여황제(무주武周)인 측천무후則天武后 시절 관제를 개혁하면서 육경六卿을 천관天官, 지관地官, 춘관春官, 하관夏官, 추관秋官, 동관冬官으로 나누고, 직관을 분류하면서 천관상서 아래 천관시랑을 둔 것이 최초이다. 이후 중종이 이씨 당나라를 회복한 후 본래 명칭인 이부시랑으로 바꾸면서 역사에서 사라졌다. 그러니 좌형소가 천관시랑을 역임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렇다면 원래 左氏였는데, 佐氏가 생겨난 것은 무엇 때문일까? 새로 들어온 것일까? 아니면 원나라 자손과 차별하기 위해 사람 人변을 붙인 것일까? 좌시우는 왜 다시 바꾸었을까? 성씨를 바꿔야 집안에 인재가 나온다는 설을 믿어야 할까? 궁금하다. 필자의 가설은 이러하다.
혹시 원래 左氏에서 佐氏로 바뀐 것은 원나라 자손이되 제주 출신임을 구분하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이후 좌시우가 다시 바꾼 것은 중국 좌씨의 정통성을 이어받기 위함일 가능성이 크다. 특히 그가 좌구명의 《좌전》이나 좌사의 《삼도부》를 팔아 얻은 돈을 국채보상운동에 헌납했다는 것은 나름 상징성이 있는 듯하다. 또한 곽지에서 금성을 분리시킨 것은 그곳이 좌씨의 집성촌이기 때문일 수 있다. 
금성錦城은 우리나라에서 지명으로 사용하는 곳이 있긴 하지만 원래 사천성 성도成都의 별칭이다. 성도는 기원전 4세기 이전부터 고촉국古蜀國이 있던 곳이다. 성도 시내에 있는 섬성퇴三星堆 유적이 바로 그 증거이다. 고촉국의 초대 군주 잠총蠶叢의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양잠을 시작하여 비단을 세계 최초로 직조하기 시작한 나라이다. 그런 까닭에 금성이란 이름을 얻었다. 성도는 촉의 도읍지로 천부지국天府之國이란 별칭대로 사계절이 분명하여 곡식 재배에 적합하고 물자가 풍부하며, 무엇보다 외부에서 공략하기 어려운 천혜의 지리적 조건을 갖추었다. 
좌사의 《삼도부》을 소장하고 있던 좌시우는 분명 촉도가 어떤 곳인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런 까닭에 '금성'이란 지명을 사용한 것이 아닐까? 물론 지금은 금성리 웃동네 남쪽에 위치한 '잣ᄆᆞ를', '잣ᄆᆞ르'라는 지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다. 잣담이 성처럼 쌓였는데, 비단과 같이 아름답다는 뜻에서 지명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생각건대 지명의 유래가 무엇인들 지금 사람들에게 어찌 문제가 되리. 지금의 금성리가 천부의 고을로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유지하면 그 뿐이지.




심규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졸업, 동대학원 중문학 박사. 제주국제대 교수, 중국학연구회, 중국문학이론학회 회장 역임. 현 제주중국학회 회장, 별꼴학교 이사장. 
저서로 '육조삼가 창작론 연구', '도표와 사진으로 보는 중국사', '한자로 세상읽기', '부운재'(수필집) 등이 있으며, 역서로 '중국사상사', '중국문학비평소사', '마오쩌둥 평전', '덩샤오핑과 그의 시대', '개구리', '중국사강요', '완적집', '낙타샹즈' 등 70여 권이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hyemil.com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