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기부전치료제온라인판매에정품은없다 > 농촌체험 후기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농촌체험 후기

발기부전치료제온라인판매에정품은없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당호상준 작성일21-10-25 04:56 조회13회 댓글0건

본문

가장 안전하게 발기부전치료제를 복용하는 방법은 전문의의 처방을 받아 정식 허가를 받은 약국에서 발기부전치료제를 구입하는 것이다. 국민일보DB
몇 해 전 일본에서 위조의약품과 관련한 재미있는 설문조사가 진행됐다. 온라인에서 의약품을 구입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 설문조사에서 ‘당신이 구입한 치료제가 정품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87%가 비아그라 구매 정품이라고 대답했다. 온라인에 유통되는 제품은 대부분 가짜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본인이 구매한 제품만은 ‘진짜’라고 믿은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작년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온라인 비아그라 파는곳 웹사이트를 통해 ‘정품’이라며 판매되는 발기부전치료제를 수거해 성분을 시험했다. 그 결과, 검사 제품 모두가 안전성과 유효성이 보증되지 않는 ‘가짜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온라인약국 비아그라 가짜 발기부전치료제들은 유효성분을 과다 또는 과소 포함했거나, 엉뚱한 성분으로 만든 것이었다. 실제로 지난 2008년 싱가포르에서는 1월에서 5월까지 약 4개월 만에 당뇨병 전력 비아그라 판매처 이 전혀 없던 150여 명의 성인 남성에게서 급격한 저혈당 증세가 집단적으로 발병한 사례가 있었다. 남성이라는 것 이외에 공통점이 없는 이들 집단 저혈당 환자 가운데 7명은 이로 온라인약국 비아그라 인해 ‘심각한 뇌손상’을 입었고, 4명은 결국 사망했다. 추후 조사를 통해 밝혀진 이 사건의 전말에는 ‘가짜 발기부전치료제’가 있었다. 불법적인 유통 경로로 구입한 가짜 제품에 ‘ 비아그라 구입 당뇨병 치료제’ 성분이 포함돼 있었다. 국내도 가짜 발기부전치료제로부터 결코 안전하지 않다. 2014년 관세청이 보고한 불법 의약품 밀수 품목 1위는 ‘비아그라’를 포함한 불법 비아그라 판매처 발기부전치료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적발된 밀수 금액만 5656억원 규모로 전체 밀수 적발 금액의 97%를 차지했다. 적발되지 않은 밀수 품목들은 고스란히 불법 유통망을 통해 흘러든 비아그라 구매 다. 실제로 식약처가 지난 2014년 발기부전치료제 복용 경험이 있는 국내 성인 남성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10명 중 7명은 불법적인 경로를 통해 치료제를 비아그라 구입 사이트 구입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지인으로부터 구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온라인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은 ‘손쉽게 구할 수 있어서’(67.4%, 684명), ‘비뇨기과 방문이 꺼려져서 비아그라 구입 사이트 ’(18.5%, 188명) 등의 이유로 전문의약품인 발기부전치료제를 전문의 처방도 없이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짜 제품 복용이 위험한 이유는 무엇이 들어있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유효성분을 과다하게 포함한 경우에도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최초의 경구용 발기부전치료제로 널리 알려진 비아그라의 유효성분인 실데나필은 한꺼번에 과다한 용량을 복용하는 경우 심근경색, 청력 이상 등의 치명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가짜 비아그라 유통으로 인한 환자 피해를 막기 위해 오리지널 제품의 제조사인 화이자 제약에서는 글로벌 시큐리티 팀을 운영해 활동하기도 한다. 이들 부서의 주력업무 중 하나는 위조 의약품의 적발이다. 전직 FBI 출신부터 유명 사설탐정기업 출신 전문가들로 꾸려진 글로벌 시큐리티 팀은 전 세계 지역별로 거점을 두고 규제 당국과 적극 협력해 위조 의약품 유통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최근 한국화이자에서 정품 확인에 도움이 되는 웹사이트를 개설한 것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다. 비아그라를 처방받은 환자들은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해 제품 겉면 스크래치 스티커 안에 숨겨진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는 간편한 방법을 통해 해당 제품이 정품이 맞는지 아닌지 확인해 볼 수 있다. 대한비뇨기과의사회 신명식 회장은 “가짜 발기부전치료제를 복용했을 경우에 뇌 손상, 사망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해외 사례를 통해 밝혀진 만큼, 발기부전 증상이 의심된다면 인터넷을 찾을 것이 아니라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고 정식으로 제품을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영수 기자 juny@kukimedia.co.kr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hyemil.com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